3008, 508, 508 SW PHEV
PSA 그룹 하이브리드 차량 관련 프로그램의 총 책임자인 Oliver Salvat와 브랜드 전문가인 Antoine Aubert가 프랑스 매체와 인터뷰를 했는데, 기존에 알려진 것 외에 추가된 내용이 좀 있네요. (참조기사: The AutomobilistS)
참고로 기존의 PHEV 관련 공식 발표 내용은 본 블로그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라구요. (참조기사: 푸씨뉴스)
인터뷰 내용 중에 특기할 만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3008과 508 PHEV 차량의 연료탱크 용량은 43리터이다. (일반차량은 53리터)
2. 5008의 PHEV 버전은 7인승 적용에 이슈가 있어서 아직은 적용 못한다.
3. 508의 4륜구동 버전도 가능하나 아직은 계획에 없다. 508은 기업용 차량의 비중이 높은 편이고 관련된 유지비용을 디젤 수준에 맞추기 위해 그렇게 하였다. (3008의 HYBRID4 버전만 E-AWD이고, 508의 HYBRID는 2륜구동이라고 기존 발표됨)
4. 3008과 DS7 크로스백은 동일한 300마력임에도 완전히 다른 차일 것이다. (3008과 C5 에어크로스의 운전경험이 완전히 틀리다고 하니 이것도 가능할 듯)
5. CMP 플랫폼 기반의 차량은 전기차, EMP2 플랫폼 기반의 차량은 PHEV로 개발된다.
글쓴이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PSA그룹 차량들의 전동화 계획을 매우 환영합니다.
소비자 입장에서 기존 PSA그룹 차량들의 단점을 지목할 때 아래와 같은 사안들이 주로 거론되죠.
고출력 엔진이 왜 없냐
사륜구동 옵션이 없고 왜 전륜만 있냐 (그립콘츄롤이 있지 않은가!)
국내에는 왜 디젤만 들어오냐
일단 PHEV나 전기차 버전의 푸조 차량이 도입된다면, 위의 대부분이 해소가 됩니다.
기존 엔진 + 모터의 합산출력으로 고출력이 가능하고 기동성도 좋아지죠.
HYBRID4 시스템은 후륜의 독립적인 모터 덕택에 전자 기반의 AWD (E-AWD)가 구현 가능해집니다.
국내의 경우 가솔린보다 연비 좋고, 디젤보다 정숙한 PHEV가 들여올 가능성이 생기겠죠. (물론 원가가 적정하다면)
3008 HYBRID4 시스템의 사륜구동 시스템
결국, 소비자 입장에서 PSA그룹의 전동화는 쌍수를 들고 환영할 만한 일이기 때문에, 어서 빨리 현행화되어 국내에도 판매를 하는 날이 오기를 기대해 봅니다.
'푸조 뉴스와 정보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푸조의 브랜드 서명과 앰블렘이 변경될 예정 (0) | 2019.02.21 |
---|---|
경축! 50만대의 3008과 100만대의 308 차량을 생산한 푸조 (0) | 2018.11.30 |
푸조 차량 2024년까지 출시 계획 (0) | 2018.11.02 |
파리모터쇼 - 푸조 e-Legend 컨셉, 3008 및 508 전시사진 (0) | 2018.10.09 |
푸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신모델 발표 (3008/508/508SW) (0) | 2018.10.08 |